김영하 엉터리 『읽다』 문학동네 개정판 (2018)

 

1.    "보르헤스가 굳이 고전이라는 말이 ‘함대’에서 유래했음을 이야기한 것도 바로 이 두 사실을 염두에 두었기 때문일 것이다. 나 역시 그리스인들이 수천 척의 배로 이뤄진 함대를 이끌고 트로이 정복을 떠나는 장면부터 이야기를 시작하고자 한다."

=> “The Face That Launched A Thousand Ships” “천 척의 배를 출항시킨 얼굴” – 시인 크리스토퍼 말로 

여러 자료에 따라 배 숫자는 1186, 1184, 1189, 1127 등의 숫자가 떠돌으므로, “수천 척”은 과장이 너무 심한 듯. 

 

2.     "『오디세이아』는 아테나가 다른 신들에게, 포사이돈의 노여움을 사 고향으로 돌아가지 못하고 있는 우리의 영웅 오디세우스를 어떻게 하면 무사히 귀향시킬 수 있을까 논의하는 장면에서 시작한다. 그 시점에 오디세우스는 이미 십 년을 바다에서 떠돌다가 칼립소의 포로가 되어 있었던 것이다."

 

=> 십 년을 떠돌다가 칼립소의 포로가 되는 게 아니라, 총 10년 중에 칼립소 섬에서 7년을 갇혀 있었음.

 

3.     "지금으로부터 약 2800년 전에 살았던 호메로스는 왜 이렇게 복잡한 방식을 사용한 것일까? 그것은 이미 당대의 독자(청중)들이 오디세우스의 이야기를 굉장히 잘 알고 있었기 때문일 것이다 트로이의 목마를 구상한 오디세우스는 이미 수많은 이야기와 전설의 소재가 되었을 것이고, 호메로스가 이 장대한 서사시를 쓸 무렵에는 에게해 일대에 그 이야기를 모르는 사람이 없었을 것이다. […] 호메로스는 여러 겹으로 텍스트를 감싸고, 이야기에서 가장 흥미로운 부분인 오디세우스의 모험 부분을 ‘이야기 속의 이야기’로 만들었으며, ‘늙고 힘 빠진 영웅이 과연 구혼자로 둘러싸인 아내 페넬로페를 구해낼 수 있을까’라는 질문에 대한 해답은 이야기 마지막에 배치해 독자가 흥미를 잃지 않도록 배려했다. […] 이순신이라는 영웅을 우리는 잘 알고 있다. 어떻게 잘 알고 있을까? 그를 소재로 한 수많은 서사물, 김훈의 『칼의 노래』라든가 영화 <명량>을 통해 아는 것이다." 

 

=> 마치 오디세우스가 이순신 장군처럼 실지 역사적 인물인 듯 착각하고, 트로이의 목마를 정말로 오디세우스가 “구상”해서 그것이 “이야기와 전설의 소재”가 된 양 착각. 

=> 호메로스라는 인물이 정말로 서사시 『오디세우스』를 처음부터 끝까지 구성을 해서 한 곳에 써놓은 걸로 착각.   

 

 

'기타 > 비소설' 카테고리의 다른 글

The English Gentleman by Douglas Sutherland  (0) 2017.01.12

<위대한 개츠비>가 왜 위대한지 라는 질문은 적어도 두 개의 질문이다.

1. 왜 개츠비가 위대한가?
2. 소설 <위대한 개츠비>는 과연 위대한가?

-------------------------------------------------------------------------------

아래 링크는 예일대 영문과 교수 Prof. Mark Schenker가 코네티컷주 소재 Westport 동네도서관에서 한 강의 내용 podcast입니다.

50분이 안되는 짧은 강의지만 (강의 내용 35분, Q&A 15분) 이 강의로 한국독자가 궁금해하는 개츠비의 진수를 이해할 수 있습니다.

강의 내용 국어 해석은 곧 포스팅하겠습니다.

http://westportlibrary.org/…/westportreads-f-scott-fitzgera…




1915년 첫 출판되어 1974년까지 쓰여진 P. G. Wodehouse 의 Jeeves 시리즈는 영어로 쓰인 소설 중 가장 웃기는 책 중 하나이다.

그의 책은 영국에서 가끔 드라마화하기도 하는데 다음은 <Jeeves and Wooster> 시리즈의 3번째 시즌, 에피소드 1에서 영국에서 배를 타고 뉴욕에 도착하는 장면이다.

엠파이어 스테이트 빌딩이 보이고 (새로 연 빌딩이라는 언급도 있고) Prohibition이 있다고 하는 것으로 미루어 1931에서 1933년 사이가 배경.

(비디오는 9분에서부터 시작하면 배에서 보는 뉴욕 전경을 볼 수 있습니다.)

Free from Aunt Agatha, Bertie and Jeeves arrive in New York and have to take of 'limpet' Lord Wilmot, while Tuppy's attempts to sell cars are undermined by h...
YOUTUBE.COM


<Jeeves> 시리즈의 대부분 스토리는 1925년 출판된 위대한 개츠비와 같은 시대적 배경을 갖고 있다.

예를 들어, 조던 베이커가 "Absolutely!" "I'm absolutely in training." 하는 것과 데이지가 닉을 보고 "an absolute rose"라고 하는 것처럼 absolute(ly) 라는 단어는 <My Man Jeeves> 에 장장 54번 나온다.

absolute 은 그 당시 언어패턴일뿐 별 뜻이 있는 것은 아니기때문에 개츠비의 위의 예 문장들을 논리적으로 이해하려는 것은 허사이다.

P. G. Wodehouse의 재밌는 책은 꽤 여러 권 구텐버그에 올려져 있다.

Jeeves—my man, you know—is really a most extraordinary chap. So capable. Honestly, I shouldn't know what to do without him. On broader lines he's like those chappies who sit peering sadly over the marble battlements at the Pennsylvania Station in the place marked "Inquiries." You know the Johnnies I...
GUTENBERG.ORG


'기타 > 인터넷 책, 자료 소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위대한 개츠비>는 위대한가?  (0) 2017.06.04
Jeeves and Wooster TV series  (0) 2017.06.02

#새움 #이정서 씨에게 닉의 아버지처럼 “몇 가지 조언":

"거짓말을 하고 싶을 때는 반드시 주위에 그것의 진위를 밝힐 수 있는 사람이 있는지 없는지 여부를 알아보는 수고 정도는 하고 거짓말을 할 것." (Sarah Kim)

우리나라에 착각은 자유라는 말이 한참 유행하던 때가 있었다. 거짓도 물론 자유다.

------------------------------------------------------------

“역자들은 지금 단지 ‘한 달에 80달러’라는 저 말에 싸다는 느낌을 가지고(1922년, 당시 80달러는 지금의 1,000달러 수준) ‘a weather-beaten cardboard bungalow’를 ‘비바람에 바랜 허름한 방갈로’라고 번역했습니다. 그러나 저기에서 cardboard는 분리된 수식어가 아니라 저 자체가 미국의 단층집(cardboard bungalow)을 가리킵니다. 이 집은 개츠비의 호화 저택 바로 옆집으로 이 작품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상당하다. 새 번역은 이렇습니다.” (이정서 역자 노트)

“He found the house, a weather-beaten cardboard bungalow at eighty a month, but at the last minute the firm ordered him to Washington, and I went out to the country alone.” (피츠제럴드)


1. weather-beaten: “비바람에 바랜”(김욱동) 이란 표현보다 “햇볕에 거칠어진” 이 어떻게 해서 더 정확한 번역인지 알 수가 없다. 영한 사전이 아니라 영어 사전을 찾으면 그 뜻이 이렇다.

Definition of weather–beaten
1: toughened, tanned, or bronzed by the weather a weather–beaten face
2: worn or damaged by exposure to weather

기후에 의해서 낡거나 거칠어졌다는 뜻으로 기후는 해 뿐 아니라 바람, 비, 눈도 포함되고, 또 집이 거칠어졌다고 하지는 않으므로 낡었다고 하는 것이 옳다. (이정서 씨가 국문과를 나왔다는 인터뷰를 어디서 읽었는데 어느 대학인지 궁금하다.)

2. 이정서 씨가 cardboard bungalow가 미국의 단층집을 가르킨다는 얘기는 어디서 줏어들었는지 모르겠으나 아무래도 미국은 아닌 것 같다. bungalow라는 단어에 충분히 (건축적 특색을 다분히 갖고 있는) 단층집이라는 뜻이 있으므로 cardboard bungalow 가 단층집을 가르킨다는 거짓말은 아무도 영어를 할 줄 모르는 곳에 가서나 할 거짓말이지 2017년 대한민국에서 할 거짓말이 아니다.

cardboard는 이 문구에서 bungalow가 어떤 종류인지를 형용해준다. bungalow는 단충일 뿐 아니라 특정한 단층이고, 고급으로 질 수도 있고 한국 표현으로는 ‘판으로 찍은 것’처럼 지을 수도 있는 중, 요즘말로 하자면 custom-built 의 반대 의미로써의 developer-built 처럼 지어진 것을 말한다.

3. 영어 단어 country는 context 에 따라 뜻이 바뀌는 단어이다. 1920대 롱아일랜드에 아무리 논과 밭이 많았어도 국어의 의미로 시골은 아니다. 외곽, 변두리, 시외 등등 다른 단어가 이 그 의미를 전달해 줄 것이다. 미국에서 이런 상황에서 사용하는 country는 urban, suburban과 대조하는 단어이지 국어 "시골"에 꼭 상응하는 의미를 갖지 않는다. 한 마디로 국어로 영어를 이해할 수 없다는 말로, 사전 찾아가며 영어를 "원어민"처럼 하신다는 이정서 씨는 사기꾼일뿐이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