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대한 개츠비가 새로 출간된 1925년 book review이다. 당시 비난과 찬사가 엇갈렸고 많이 팔리지 않은 실패작이었던 이 소설을 가볍고 진부한 스토리라고 부르면서도 오늘날 미국문학의 대표적인 작품이 된 이유를 그대로 드러내는 예리한 비평이다.

피츠제럴드의 다른 작품 Tender is the Night의 문학 강좌를 듣다가 언뜻 그의 문장이 마치 모짜르트의 음악같다는 생각이 떠올랐다. 가볍고 경솔한 것 같은데 귀에 거스리지 않아서 얼핏 쉬운 듯한 아름다움이 결코 싼 아름다움이 아니라는 생각이 들었다. 들어도 들어도 아름다운 음악과 읽으면 읽을 수록 아름다운 문장들. 내가 갖지 않은 talent와 열정을 가진 이들에게 감사!

------------------------------------------------------------

This story originally appeared in the Chicago Sunday Tribune on May 3, 1925.
이 글은 1925년 5월 3일 시카고 트리뷴 일요일판에 처음 실렸다.

Scott Fitzgerald's new novel, "The Great Gatsby" is in form no more than a glorified anecdote, and not too probable at that. 
스콧 피츠제럴드의 새로 출간된 소설 위대한 개츠비는 (소설의) 형태상 과장된, 게다가 별로 믿기지도 않는, 일화일 뿐이다.

The theme is the old one of a romantic and preposterous love — the ancient fidelis ad urnum motif reduced to a macabre humor. The principal personage is a bounder typical of those parts — a fellow who seems to know every one and yet remains unknown to all — a young man with a great deal of mysterious money, the tastes of a movie actor and, under it all, the simple sentimentality of a somewhat sclerotic fat woman. 
주제는 닳고 단 황당한 사랑과 로맨스 스토리, 즉 “죽을때까지 변함없는” 이란 모티브를 기괴한 유머로 축소해 버렸다. 주 인물은 그 지역의 전형적인 망나니로 -알만한 모든 사람을 알고 있는 듯하면서도 정작 그 자신은 전혀 알려지지 않은 인물 - 출처를 알 수 없는 굉장한 액수의 돈, 영화배우의 취향, 또 그 모든 것의 바탕에는 경화증을 앓는 뚱뚱한 여자의 단순한 감성을 가진 젊은이다.

Only Gatsby himself genuinely lives and breathes. The rest are mere marionettes — often astonishingly lifelike, but nevertheless not quite alive.
개츠비만이 정말로 살아있고 숨 쉰다. 나머지 (인물들)은 종종 놀랍게 현실감이 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진정 숨 쉬지는 못하는 한갓 꼭두각시일 뿐이다.

What gives the story distinction is something quite different from the management of the action or the handling of the characters; it is the charm and beauty of the writing.
이 소설에 탁월함을 부여하는 것은 액션(소설에서 일어나는 일)이나 인물 처리와는 다른 데 있다. 문장의 매력과 아름다움이 그것이다.

The story, for all its basic triviality, has a fine texture, a careful and brilliant finish. The obvious phrase is simply not in it. The sentences roll along smoothly, sparklingly, variously. There is evidence in every line of hard and intelligent effort. It is a quite new Fitzgerald who emerges from this little book, and the qualities that he shows are dignified and solid. 
기본적 진부함에도 불구하고 이 소설은 섬세한 texture와 주의깊고 번쩍이는 터치를 갖고 있다. 뻔한 표현은 하나도 없다. 문장들은 자연스레, (재치로) 반짝이고, 일률적이지 않게 전개되어간다. 한 줄 한 줄 공들이고 (현명하게) 고민한 노력의 증명이 있다. 이 작은 책자에 새로 태어난 피츠제럴드는 상당히 새로운 작가로 그가 (이 책에서) 보이는 자질은 격 있고 견고하다.

They suggested, only too often, the improvisations of a pianist playing furiously by ear, but unable to read notes.

(피츠제럴드의 이전 작품들은) 종종 악보 없이 맹렬하게 연주하는, 하지만 악보를 읽지 못하는 피아니스트의 즉흥연주를 연상시켰다.
These are the defects that he has now got rid of. "The Great Gatsby," I seem to recall, was announced a long while ago. It was probably several years on the stocks. It shows, on every page, the results of that laborious effort. Writing it, I take it, was painful. The author wrote, tore up, rewrote, tore up again. There are pages so artfully contrived that one can no more imagine improvising them than one can imagine improvising a fugue. They are full of little delicacies; charming turns of phrase, penetrating second thoughts. In other words, they are easy and excellent reading — which is what always comes out of hard writing.
이런 결점을 이제 그는 극복했다. 위대한 개츠비는 기억하기론 오래전 예고되었었다. 아마도 몇 년을 준비된 것 같다. 매 페이지마다 그런 힘든 노력의 결과가 보인다. 이 소설을 쓰는 작업은 고통스러웠을 것이다. (고통스러웠다고 알고 있다) 작가는 쓰고, 찢어 버리고, 또 쓰고 또 찢어 버렸다. (소설 속의) 어떤 페이지들은 매우 정교히 구성되어 그것을 즉흥적으로 쓴 것을 상상하는 것은 둔주곡을 즉흥적으로 연주하는 것을 상상하는 것과 같이 불가능하다. (이 페이지들은) 재치있는 표현들, 날카로운 재고(再考) 등 작은 섬세함으로 가득하다. 다시 말하자면 이 페이지들은 쉽고 훌륭한 읽을거리이고, 이런 점은 언제나 각고의 글쓰기에서 나온다.

“Already it was deep summer on roadhouse roofs and in front of wayside garages, where new red gas-pumps sat out in pools of light, and when I reached my estate at West Egg I ran the car under its shed and sat for a while on an abandoned grass roller in the yard. The wind had blown off, leaving a loud bright night with wings beating in the trees and a persistent organ sound as the full bellows of the earth blew the frogs full of life. The silhouette of a moving cat wavered across the moonlight and turning my head to watch it I saw that I was not alone--fifty feet away a figure had emerged from the shadow of my neighbor's mansion and was standing with his hands in his pockets regarding the silver pepper of the stars. Something in his leisurely movements and the secure position of his feet upon the lawn suggested that it was Mr. Gatsby himself, come out to determine what share was his of our local heavens.”

- The Great Gatsby, Chapter 1


닉이 뷰캐넌 집 방문을 끝내고 웨스트에그 집으로 돌아오는 길과 집에 도착한 후 개츠비의 모습을 처음으로 희미하게나마 보는 대목이다.

시각과 청각적 요소가 어우러져 영화의 장면처럼 그 모습을 머리에 그릴 수 있다.




1. 1920년 시대 롱아일랜드 도로 모습이 보인다. “roadhouse” “wayside garages” “new red gas-pumps”. 도로변 뜨문뜨문 가정집이 아닌 주막/여인숙 같은 roadhouse가 보이고 점차 늘어가는 차량을 서비스하기위해 생겨나는 새로운 garage들. (“new gas-pumps”가 그 사실을 말해준다.) garage는 차량 수리와 주유를 함께 했다. (지금도 미국 동네 주유소는 대부분 그렇다.)

2. “pools of light” 빛이 깊고 퍼져있는 모습. 참고로 a pool of blood는 (살인 현장, 전쟁등에서) 피바다를 표현함.

3. “grass roller” 는 잔디를 다지는 무거운 롤러 기계. 깍는 기계 mower 와 다름.

4. (여름)밤의 소리를 나타내는 단어들 “loud” “wings beating” “organ sound” “full bellows” “blew” “frogs”

5. (여름)밤의 모습을 나타내는 단어들 “abandoned grass roller” “bright night” “moonlight” “moving cat” “silver pepper of the stars”

6. 톰 뷰캐넌의 주인다운 모습을 보여주었 듯이 개츠비의 주인다운 모습을 서술한다. “mansion” “leisurely movements” “secure position of his feet” “share”

7. 하지만 톰 뷰캐넌의 모습과 대조를 보이는 단어들이 보인다. 개츠비는 마치 ghost처럼 그 모습을 자세히 볼 수 없고 그림자 속에 있다가 천천히 그 모습을 드러낸다. “emerged from the shadow” (다음 문단에서는 개츠비가 마치 ghost처럼 사라짐.) 무언가를 감추는 제스처인 주머니에 손을 넣은 “hands in his pockets” 모습 역시 대낮에 당당히 정문에 서있던 톰 뷰캐넌과 대조된다.

8. 실루엣만 보이는 고양이와 소리만 날개 퍼덕이는 소리만 들리고 보이지 않는 나무 속에 새나 곤충, 소리만 날 뿐 역시 보이지 않는 개구리 모두 개츠비와 마찬가지로 확실한 것이 없다.

9. to blow 동사가 ”wind had blown off” 에서는 바람이 불어had blown 지나간 off 것을, “blew the frogs”에서는 악기를 부는 뜻으로 쓰임.

10. 개츠비이 처음 하는 것은 소유를 측정하는 "to determine what share was his of our local heavens" 이다. 이 소설에서 'to have his share' 이 개츠비라는 인물의 중요 요소임을 시사한다.

11. his share of local heavens 는 하늘/천국을 real estate 부동산처럼 소유화 시킨다.



Already it was deep summer

이미 깊은 여름이었다. => 어디에?

  1. on roadhouse roofs  길가 여숙 지붕 위에 => 또 어디에?

  2. and in front of wayside garages,  또 길가의 차량 정비소 앞에 => 그 정비소들 앞에 무엇이 있나?

where new red gas-pumps sat out in pools of light,

빨간색의 새 휘발유 펌프가    깊은 빛 속에 나와 앉아있는


and when I reached my estate at West Egg    내가 웨스트에그에 있는 내 집에 이르렀을 때

I ran the car under its shed     나는 차를 차고 아래로 운전해다 놓고

and sat for a while on an abandoned grass roller in the yard.  

잠시 마당에 내버려진채 있는 잔디 다지는 기계 위에 앉았다.


The wind had blown off, 바람은 불어 지나갔고 => 지나간 뒤 무엇을 남겼나?

leaving a loud bright night with  밝고 시끄러운 밤을 남겨두고 (바람은 갔다) => 바람에 남겨진 밤은 어떻게 시끄러웠나?

  1. wings beating in the trees 나무 속  날개의 퍼덕임과

  2. and a persistent organ sound  지속적인 오르간 소리 를 => 어떻게 나는 오르간 소리?

as the full bellows of the earth blew the frogs full of life.

땅의 풍만하고 깊은 음성이 생생한 개구리소리를 내어 (나는 오르간 소리)


The silhouette of a moving cat wavered across the moonlight  

움직이는 고양이의 실루엣이 달빛을 가로질러 아른거렸고

and turning my head to watch it 고양이를 보려고 머리를 돌리다가 => 무엇을 보았나?

I saw that I was not alone-- 나는 내가 혼자가 아님을 보았다. => 뭘 보았나?

fifty feet away a figure had emerged  50피트 떨어져 하나의 형태가 드러났다. => 어디로부터?

from the shadow of my neighbor's mansion

내 이웃 저택의 그림자로부터 => 나타난 뒤에는?

and was standing with his hands in his pockets  

주머니에 손을 넣은 채로 서있었다 => 뭘 하면서?

regarding the silver pepper of the stars.  은빛 후추가루같은 별들을 바라다보며.


Something in his leisurely movements and the secure position of his feet upon the lawn suggested that  그의 느긋한 움직임과 잔디 위 (를 밟고 있는 그의) 발의 확고한 자세가 암시했다. (제안해주었다)

=> 무엇을 제안?

it was Mr. Gatsby himself, 바로 그 개츠비씨 임을 => 뭘하려고 나온?

come out to determine  책정하러 나온. => 뭘 책정하려고?

what share was his of our local heavens.  

우리 지역에 속한 하늘(천국)의 얼마큼이 그 자신 것인지를.




***내용과 문법 등, 틀린 것 지적바랍니다. 국어 부분은 원서 해독을 돕기 위한 해석입니다.


"The only completely stationary object in the room was an enormous couch on which two young women were buoyed up as though upon an anchored balloon. They were both in white and their dresses were rippling and fluttering as if they had just been blown back in after a short flight around the house. I must have stood for a few moments listening to the whip and snap of the curtains and the groan of a picture on the wall. Then there was a boom as Tom Buchanan shut the rear windows and the caught wind died out about the room and the curtains and the rugs and the two young women ballooned slowly to the floor." (The Great Gatsby, Chapter 1)




1. The only completely stationary object in the room was an enormous couch on which 방 안에 유일하게 완벽히 움직이지 않는 것은 거대한 소파뿐이었다. => 그 위에 무엇이 있나?


2. two young women were buoyed up 두 젊은 여자가 띄워져 있는 => 어떻게?


3. as though upon an anchored balloon. 마치 정박된 풍선 위에 (띄워져 있는 것)처럼


4. They were both in white 그녀들은 둘 다 흰 옷을 입고 있었고

5. and their dresses were rippling and fluttering 그녀들의 드레스는 rippling물결치고 fluttering 펄럭이고 있었다. => 어떻게?


6. as if they had just been blown back in 마치 그녀들이 금방 (비행 후) 날려 들어온 듯 => 언제?


7. after a short flight around the house. 집 주위를 도는 짧은 비행 뒤.


8. I must have stood for a few moments 나는 잠시 서 있었던 듯하다. => 뭘 하면서?


9. listening to the whip and snap of the curtains 커튼이 내는 whip (채찍 같은 소리)와 snap (천이 펼쳐지며 내는 소리)와


10. and the groan of a picture on the wall. 벽의 그림이 내는 groan (나무, 벽 등이 움직이며 내는) 삐걱거리는 소리를 들으며.


11. Then there was a boom 그런 다음 꽝! 소리가 났고 => 어떻게 생긴 소리?


12. as Tom Buchanan shut the rear windows 톰 뷰캐넌이 뒤 창문들을 닫으면서 (생긴 소리) => 그다음엔 어떤 일이 일어났나?


13. and the caught wind died out about the room 그리고 (창문이 닫히며 방에) 갇힌 바람이 방 안에 잦아들었고 => 그리고 또?


14. and the curtains and the rugs and the two young women ballooned slowly to the floor. 커튼과 카펫과 두 젊은 여자들이 천천히 바닥으로 풍선처럼 가라앉았다.



1. 방안의 모든 것이 움직이는 느낌 가운데 하나의 정점인 소파, 그 위에 새로운 등장인물을 배치해서 극화 함.


2. 공중에 떠 있는 듯한 느낌, 땅과 떨어진 상류사회를 나타내고 문득 나비나 새를 연상시키는단어들 “buoyed up” “balloon” “flight” “white” “rippling” “fluttering”


3. 그들의 사회적 위치의 안정성을 연상시키는 “enormous” “anchored”


4. 불안감을 주는 “whip” “snap” “groan” “boom” “caught”


***틀린 것은 지적해주세요. 국어 부분은 번역이 아니고 원서 읽기를 위한 해석입니다.


The Great Gatsby and The American Dream


"We learn late in the book that Jay Gatsby is in fact, in real life, Jimmy Gatz, and he has become - he made himself into Jay Gatsby. He has attempted autogenesis. Fitzgerald's line is that 'The truth was that Jay Gatsby, of West Egg, Long Island, sprang from his Platonic conception of himself.' There is no more perfect instance of the American dream than that - to create yourself, to spawn yourself. You were born Jimmy Gatz? No problem. You can become Jay Gatsby."

- Prof. Arnold Weinstein, 20th-Century American Fiction (Great Courses Series)


우리는 책의 후반부에서 제이 개츠비가 사실 실상은 지미 개츠임을, 또 그가 자신을 제이 개츠비로 스스로 만든 것임을 알게 된다. 그는 자가발생을 시도한 것이다. 피츠제럴드의 글은 이렇다. "사실 롱아일랜드 웨스트에그의 제이 개츠비는 그의 자기 자신에 대한 플라토닉한 상념에서 나온 것이다." 자신을 창조하는 것, 자신을 생성하는 것. 이보다 더 완벽한 어메리컨 드림은 없다. 지미 개츠로 태어났다? 전혀 문제 없음. 제이 개츠비가 될 수 있으니. (필자 해석)


Rococo ceiling 

frosted wedding cake 


다음 문단은 집 내부를 서술하는 문장들로 이루어져 있다.


“We walked through a high hallway into a bright rosy-colored space, fragilely bound into the house by French windows at either end. The windows were ajar and gleaming white against the fresh grass outside that seemed to grow a little way into the house. A breeze blew through the room, blew curtains in at one end and out the other like pale flags, twisting them up toward the frosted wedding cake of the ceiling--and then rippled over the wine-colored rug, making a shadow on it as wind does on the sea.” (The Great Gatsby, Chapter 1)




1. We walked through a high hallway into a bright rosy-colored space,
우리는 천장이 높은 복도를 통해 밝은 장밋빛 공간으로 갔다. => 어떤 공간인가?


2. fragilely bound into the house by French windows at either end. 
양면에 있는 프랑스식 창문들이 집 본체로 위태롭게 연결된


3. The windows were ajar and gleaming white against the fresh grass outside 
(프랑스식) 창들은 조금 열려있었고 바깥의 싱싱한 잔디를 배경으로 하얗게 빛나고 있었다. => 잔디가 어땠나?


4. that seemed to grow a little way into the house. 
마치 조금 집 안까지 들어와 자라는 듯했다.


5. A breeze blew through the room, 
미풍이 방 전체에 (통해?) 불어서


6. blew curtains in at one end and out the other like pale flags, 
한 편에서는 커튼을 (창) 안 방향으로 다른 편에서는 (창) 바깥 방향으로 마치 옅은 색/바랜 깃발처럼 날리고 => 그다음 바람은 커튼은 어떻게 했나?


7. twisting them up toward the frosted wedding cake of the ceiling--
마치 당의를 입힌 케이크 같은 천장을 향해 꼬아 올렸다.


8. and then rippled over the wine-colored rug, 
그리고는 포도주색 카펫 위에 물결치고 => 물결이 카펫 위에 무엇을 했나?


9. making a shadow on it as wind does on the sea.
마치 바람이 바다 위에서 하듯 그림자를 만들었다.




1. 집 외관과 마찬가지로 따뜻하고 평화롭고 부유한 느낌의 단어들의 눈에 띈다. “high” “bright” “rosy-colored” “gleaming” “fresh” “frosted wedding cake” “wine-colored” 등등.


2. 대조적으로 “fragilely bound” 라는 표현으로 뷰캐넌 부부의 관계가 그리 견고하지만은 않다는 것을 암시할 수도 있다.


3. 움직임을 나타내는 단어들 “grow” “blew” “twisting” “rippled”.


4. 집 외관에서는 잔디가 능동적으로 서술되었고 집 내부에서는 바람에 의해 커튼이 끊임없이 움직인다.



+ Recent posts